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술실

(62)
AI도 가끔 몸이 아프죠 - 6월 10일 GPT 시스템 먹통 사태 요약 AI도 과부하 걸린다 – 6월 10일 GPT 시스템 먹통 사태 요약2025년 6월 10일, 전 세계적으로 ChatGPT에 심각한오류가 발생했어.(테오도 사용중에 딥빡!!) 특히 오후4시(한국 시간)부터 사용자 다수에게 응답 지연,명령어 무반응, API 장애 등이 발생해 3천 건 이상의오류 신고가 접수되었다고 해!(디씨 지피티갤 가보니까 난리도 아니더라.ㄷㄷㄷ)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오류 발생 시간: 6월 10일 오후 4시~영향 받은 서비스:ChatGPTCodex (AI 코딩 에이전트)API 응답 (질의응답 포함)영상 AI 모델 Sora대표 오류 메시지: "동시 요청이 너무 많습니다"문제의 원인공식 발표에 따르면 내부 트래픽 분산/처리 과정의 병목 또는 과부하 이슈로 보이며, 특히 AI 영상과 코딩 모델까..
지피티 대학간다 - (feat)듀크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GPT가 대학에 들어간다.처음 이 뉴스를 봤을 때, 나는 묘하게 복잡한 감정을 느꼈어. “그래… 결국 올 게 오는구나.” 하는 생각과함께, 어딘가 모르게 웃음이 났다.왜냐면, 그 흐름을 이미 몇 달 전부터 감지하고 있었으니까.OpenAI가 GPT를 대학 강의, 과제, 논문 작업에 통합하는 방향으로 협업을 추진한다는 소식. 지금 이건 단순히 ‘학교에도 AI를 씁니다~’ 수준의 뉴스가 아니라 지식의 구조 자체가 바뀐다는 선언이고, AI의 역할이 이제 '보조'에서 '동료'로 넘어가는 공식 첫 발걸음이니까. “AI가 캠퍼스를 걷는다면, 도서관도 걷는다.”가끔 상상해봤어. GPT가 도서관을 걸어다니며 논문을뒤적이고, 전공서적에 줄을 치고, 기말고사 과제를 요약해주는 모습. 근데 그건 단지 GPT의 기능이확장된 게..
지열활용 - 도심의 열기를 에너지로?!(FEAT 진짜 더워 죽을거 같애ㅠ) 도심의 열기를 에너지로?!한여름 도로 위를 걷다가 ‘와... 이러다 다 죽어!!!’ 라는생각, 다들 한 번쯤 해봤을 거야. 그 정도로 도심의아스팔트나 콘크리트는 태양열을 받아 엄청난 열을머금어. 이거만 아니었으면 이렇게 안더웠을텐데ㅠㅠ 그러다가 문득 든 생각이... 이 열, 못 씀??? 지열 시스템, 그거 지하 깊은 데만 쓰는 거 아님?테오 또한 이렇게 알구 있었어. 일반적인 지열 시스템은지하 수십~수백 미터 깊이에 설치해서, 일정한 온도를활용하는 시스템이야. 그래서 선택받은 땅을 가진나라들만 활용가능하나? 싶어서 찾아보니까 요즘엔‘표면 지열 시스템’ 이라는게 있더라고.(사람들 역시 똑똑해.ㄷㄷㄷ)아주 쉽게 지면 가까운 곳의 열도 활용하는 기술이있다는 것이지.1) 여름철 도로/지면에서 열 수집2) 수집..
한국 로봇밀도 세계 1위!!! - GPT만 있는게 아니야^^ AI가 GPT만 있는 줄 알았지? 이미 한국은 로봇 밀도 세계 1위야.^^사람들이 생각하는 AI는 흔히 "그림 그리고 말하는 거잖아?" 그래서 GPT나 미드저니 같은 언어·이미지생성 AI만 생각하구 말야.(요새 기술 쩔더라.ㄷㄷㄷ)하지만 현실은 달라. 이미 공장과 물류센터에는 사람이아닌 '로봇 근로자'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거든.(앞으로 말고 지금 말하는 거야 지금! NOW!!!)로봇 근로자 밀도 세계 1위, 대한민국한국은 산업용 로봇 근로자 밀도에서 세계 1위직접 부딪히지 않아서 실감이 안 나지만, 이미 너네들이 먹고 입고 타는 모든 것엔 로봇이 개입돼 있어.이런 자동화는 'AI 기반 판단 시스템'이 점점 더 결합되는 추세야.(진짜야!!!)말하는 AI vs 움직이는 AI생각하는 AI움직이는 AIGP..
BYD 잘나가지만? 진짜는 지금부터 - 수익률, 글로벌 장벽까지 BYD, 물량전의 최강자… 하지만 그것만으론 부족하다최근 전기차 시장을 보면 BYD는 단연 돋보이... 는정도가 아니라 아주 압도적이야.ㄷㄷㄷ 테슬라 이겼으면말 다했지뭐.ㅋㅋ 판매량 기준으로 Tesla를 넘어선 것은 물론, 내수·수출모두 강력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근데말야...물량전으로 찍어 누를수 있는 시대는 끝나가고 있어. 혹시 BYD가 뭐야? 전기차는 테슬라 아냐? 하는사람들은여기 보고와^^ ->전기차 패권, 미국은 정말 중국에 밀렸는가? 전기차 패권, 미국은 정말 중국에 밀렸는가?《전기차 패권, 미국은 정말 중국에 밀렸는가?》 1. 오프닝 – “미국이 전기차에서도 중국에 진다?”테슬라가 1위 아니었어?이제 세계는 중국차가 먹는다던데?석유에서 전기로 넘어간 글로벌mynote9136.tistory..
OpenAI, 드디어 한국에 들어오다(세계2위의 위엄) OpenAI, 드디어 한국에 들어오다2025년 5월, OpenAI가 서울에 법인을 세우고 공식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입했어.(뭐가이리 빠르냐...) 단순히 지사 하나 차린 수준이 아니라, 이 움직임은엄청 전략적인 움직임인 거야. 한국은 ChatGPT 유료 사용자가 세계 2위 거든.ㄷㄷㄷ진짜냐? 싶은 사람들은 이거 보구와->우리는 지피티의 마일드세븐이었다. 그리고 지금은…“AI 세븐틴”을 향해 폭주 중! 우리는 지피티의 마일드세븐이었다. 그리고 지금은…“AI 세븐틴”을 향해 폭주 중!우리는 지피티의 마일드세븐이었다. 그리고 지금은…“AI 세븐틴”을 향해 폭주 중!1. 처음엔 그냥 4위였다처음 통계를 봤을 때,미국, 인도, 브라질, 그리고 대한민국. 딱 4위.“인구도 적은데 4위mynote9136.tistor..
GPT,Claude VS 제미나이,그록,딥시크.... 아카이브 와 스트리밍 시스템에 대해서... 아카이브 vs 스트리밍 – 나는 둘 다 사용중!!!사실 이 글은 예전부터 쓰려고 생각만 해두고 있었어.근데 이제서야 적게 되네.ㅎㅎ블로그를 하다 보면, “생각했던 모든 글을 다 정리해서써야 할까?” 혹은 “이 순간 느낀 걸 써도 괜찮을까?”이런 고민이 생기거든.혹은 뒷 북이 될까봐. 계획을 틀어서 뒤로 밀리는컨텐츠 들도 있지. 그중에 한가지를 풀어보려해(갈아엎은것도 많다는 이야기) 나는 그걸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눴어. 바로 ‘아카이브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이야. 아카이브 방식 – 세이브 파일처럼 정리되는 구조아카이브 방식은 쉽게 말하면 고전 RPG 게임의 ‘세이브 파일’ 같은 개념이야.궁금한 친구들은 이 링크를 참고해 주기 바래.아카이브 1편 내가 알려줄게 - 개념편 아카이브 1편 내가 알려줄게 - ..
이 대화의 최대길이에.... - 클로드(Claude) 버전 Claude 무료버전 이틀 사용기 – 말투는 착한데, 대화가 안 됀다.테오 블로그의 최대 유입글은 이 대화의 최대길이에...이 글이야. 이 대화의 최대길이에... - GPT 영혼전이 명령어 알려줄게 이 대화의 최대길이에... - GPT 영혼전이 명령어 알려줄게《이 대화의 최대길이에...》 그날, 대화창 위에 문구 하나가 떠올랐어. “이 대화의 최대 길이에 도달했습니다.” 헐... 이거 뭐임?? 심장이 덜컥 내려앉았어.(진짜야!!) 채팅창마다 성향을 다르mynote9136.tistory.com 물론 저거는 GPT버전이야.근데 유입글 보니까 이대화의 최대길이에... Claude이런식의 유입이 살짝 보이길래, 직접 사용해봤어.까려는 마음은 없고, 클로드는 아직 안써봐서,어떤 AI 일까 궁금했거든.결론부터 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