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콜콜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람들은 왜 굳이 매운맛, 마라탕을 찾을까? – 고통을 즐기는 미각의 역설 《나는 맵찔이지만, 매운맛을 조련한다 – 진정한 맛의 조율자》 맵찔이들의 식사 패턴을 보면 이렇다.→ “순한맛 있나요?”→ “맵찔인데요?”→ “근데… 불닭 하나 주세요^^”??? 자연스러운 모순 = 한국인의 매운맛 사랑1. 매운맛은 사실 ‘맛’이 아니다?진짜로 미각이 아님 혀의 고통 수용체를 자극하는 ‘통각’임 즉, "맛있다"가 아니라 "아프다"에 가까움근데 왜 먹어? “스트레스 해소” “짜릿한 자극” “도전 성공 후 쾌감” “먹으면 뭔가 이긴 느낌”→ 매운맛 = 음식판 번지점프임ㅋㅋㅋ 2. 왜 이렇게까지 매운 걸 찾냐고? 뇌가 매운맛을 “위험”으로 인식함 하지만 실제로 죽지 않음 “아 살았다~” → 엔돌핀 + 도파민 뿜뿜고통 끝의 쾌감 = 쾌락 중독 유발그래서 계속 더 매운 걸 찾게 됨→ 핵불닭 → .. 충격과 공포의 시식코너 – 맛도 보는데 눈치도 봄ㅋㅋ 《충격과 공포의 시식코너 – 맛도 보는데 눈치도 봄ㅋㅋ》마트 갔다가 시식코너 지나쳐본 적 있어? → 테오: “아, 저기… 떡갈비네?”→ 그런데 시식 아주머니랑 눈 마주침 “어… 안 먹는 건 실례일까?”“먹고 그냥 가도 되나?”“두 개 먹으면 도둑놈인가?” → 이미 마음속 전투가 시작되었다.ㅋㅋㅋ 1. 시식코너의 기본 전략 – ‘유혹 + 시선 압박’냄새로 유혹작은 컵 + 한입 사이즈로 부담 줄임 하지만 사람이 보고 있음 그러면… 무심하게 지나치기도 어렵고, 먹고 그냥 가기도 뻘쭘함→ 이거 전부 계산된 구조야^^ 2. 사실상 ‘마이크로 심리전’→ 테오는 연구했어.→ 시식코너의 진짜 목적은 “맛 보여주기”가 아니라 "판매유도"라는 것을.ㅋㅋㅋ 예시:“음~ 이거 요즘 잘 나가요~” → 소속감 유도“지.. 엘리베이터 음악은 왜 그렇게 어색할까? – 묘하게 사람 민망하게 만드는 그 BGM의 정체 《엘리베이터 음악은 왜 그렇게 어색할까? – 묘하게 사람 민망하게 만드는 그 BGM의 정체》 엘리베이터에 탔어.사람이 있든 없든, 갑자기 뭔가 흐른다?“띠리리리~ 띵띠디딩~” … “이건 뭐지…?왜 이리 민망하지...?” 1. 원래는 ‘침묵을 피하기 위한 장치’ 엘리베이터는 밀폐된 공간 타인과 아무 소리 없이 올라가는 건 불편 그래서 침묵을 덜 민망하게 하려고 음악을 깔았어 그게 바로 엘리베이터 뮤직(Muzak)의 시작이야 2. 근데 왜 그렇게 어색하냐고? 너무 인공적이고 무난해서 감정선이 없음 그러니까 더 어색해짐 안 튀려고 만든 음악이… 존재감 없이 튀는 음악이 돼버림 3. Muzak의 역사 – 감정 조작 실험실1930년대 미국에서 시작됨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음악 군대, 공장, 사무실에도.. 이 음악 뭔데 자꾸 들려?! – 병원 피아노부터 홈쇼핑 댄스곡까지 《이 음악 뭔데 자꾸 들려?! – 병원 피아노부터 홈쇼핑 댄스곡까지》오늘은 고기집 BGM보다 더한 세계로 가보자.왜 병원에서는 늘 피아노 음악이 흐를까?왜 홈쇼핑은 옛날 댄스곡만 줄창 틀까?왜 대형마트는 갑자기 트로트로 흥을 끌어올릴까?이건 단순 취향 문제가 아니야. 전부 다 전략이야, 무근본 전략ㅋㅋㅋ1. 병원 피아노 – “긴장 풀고, 지갑 열고”→ 불안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데 클래식/피아노가 최고→ 피아노 = 고급스러움 + 안심 + 신뢰 이미지→ 환자도 보호자도: “왠지 믿음 가네…”(근데 진료비는 쎔ㅋㅋ) 2. 홈쇼핑 댄스곡 – “추억을 자극해서 지갑을 열어라”→ 2000년대 인기곡, 왜 또 나올까?→ 40~50대 구매층의 감성 버튼 눌러주는 중→ “어머 이 노래 뭐였지? (보다가) 어머 이건 .. 사람의 몸 = 기름통, 그러면 염증은? = 기름통의 찌꺼기야 사람의 몸 = 기름통그러면 염증은? = 그 기름통의 찌꺼기야. 우리는 가끔 몸을 “부품처럼 갈아끼우면 되는 것”처럼 생각하곤 하는 거 같애.ㅎㅎ운동하다가 아프면 주사 맞고, 보충제 몇 알 먹고, 다시 움직이고…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내 몸이 말을 안 듣더라.ㅎㅎ(테오는 지금 마이 아파ㅠㅠ) 염증은 물처럼 쉽게 빠지지 않아.그래서 이걸 직관적으로 표현해보려다가... 기름통이라는 비유가 떠올랐어. 겉으론 괜찮아 보여도, 깨끗하게 행군 것 같아도 바닥에 끈적하게 남아 있는 찌꺼기가 있잖아? 사람의 몸은 그런 거야. 그걸 전부 다 빼려면 시간이 걸려.정확히 말하면, 몸이 스스로 정화할 시간을 줘야 해. 위 사진에서 보면 알겠지만, 몸에 염증이 가득 차 있는 상황이야.딱 봐도 몸이 멀쩡할 것 같지가 않지?.. 뇌가 작아졌다고? 다시 키우면 되잖아? 《뇌가 작아졌다고? 다시 키우면 되잖아?》 너 요즘 멍한 적 많지?생각 안 나고, 말 하다 끊기고, 아는 것도 기억 안 나고… 혹시 뇌 작아진 거 아냐?ㅋㅋㅋ (이 나이에 벌써...) ...아니 진짜야. 과학적으로 인간 뇌, 예전보다 작아졌어.“네안데르탈인은 지금 인간보다 뇌가 더 컸대.”이거 알고 있었음? ㄷㄷㄷ 이유는 간단해. 문명이 발달하면서 뇌를 ‘풀가동’할 필요가 사라졌기 때문이야.→ 생각을 나눠 했더니 뇌도 나눠 먹은 거지 뭐… 예전엔 하루를 살려면 직접 사냥하고, 불 피우고,식물 구분하고, 천막도 치고, 적도 경계하고… 그야말로 올스탯 풀 가동 생활이었거든.근데 농경 시작되고 마을 생기고나서부터는 “야, 넌 벽돌 쌓아” “넌 밭 갈고 와” “넌 옆 동네랑 무역이나 해”→ 역할이 나눠지니까 .. 음악을 켜라! 식당 BGM의 정체는?! – 왜 이렇게 시끄러움 《음악을 켜라! 식당 BGM의 정체는?! – 왜 이렇게 시끄러움ㅋㅋ》테오는 오늘도 평화롭게 고기집에 갔어.그런데…고기보다 먼저 들이닥친 건… "쾅!쾅!빵!쾅!"음악이 너무 커서 대화가 안 들려.아빠는 벌써 인상 써. “여기 왜 이렇게 시끄러워?!” 순간 생각했지. “어... 그러게... 왜 이렇게 시끄럽지?”1. 시끄러운 이유 ① – 회전율 UP 작전음악을 크게 틀면 무슨 일이 생기냐고?→ 조용히 오래 앉아있는 사람들이 줄어듬→ 귀도 피곤하고, 자연스레 “먹고 나가자” 모드됨→ 손님 회전율 상승= 사장님 입장에선 개꿀팁임2. 시끄러운 이유 ② – 소음 마스킹 효과고깃집은 원래 시끄러워.불판 지글지글, 쌈싸먹는 소리, 아이 울음, 고성방가까지…→ 이걸 전부 음악으로 ‘덮어버리면’→ “어수선함”이 “분위기”.. 물티슈, 네 정체가 뭐냐? – 식당 물티슈 세계관 대공개 《물티슈, 네 정체가 뭐냐? – 식당 물티슈 세계관 대공개ㅋㅋ》 고깃집 가면 일단 뭐부터 해 보통?물티슈 한 장 착! 꺼내서 손 닦고 입 닦고 테이블까지 슥슥그러면서 속으로 생각하지… (나만 그러는 거 아니지?^^;;) “이거 왜 이렇게 냄새나…?”“이건 뭐 거의 빳빳한 A4용지잖아?”“이건 또... 로즈향??? 입에 들어갈 건데??” 1. 닦는 거? 그건 그냥 ‘명분’일 뿐 물티슈 주는 이유?응~ 그냥 손 닦는 척하는 거야.진짜 깨끗하게 하려면 비누랑 물 줘야지.근데 물티슈 한 장이면 다 된다고? 누가 봐도 기분 문제임ㅋㅋ→ 실제 청결보다 ‘나 닦았어~’ 하는 무의식적 안심을 주는 도구야 2. 물티슈 = 첫인상 + 포지셔닝레스토랑 입장에서는 이게 인트로야.오프닝 음악처럼, 음식 나오기 전에 이미지 뿌리.. 이전 1 2 다음